분류 전체보기

Demystify SwiftUI - Identify: SwiftUI는 뷰를 어떻게 구분할까?
SwiftUI는 뷰를 어떻게 구분할까?SwiftUI는 정체성(Identity)을 통해 뷰를 구분합니다.UIView, NSView를 클래스로 모델링한 UIKit, AppKit과 달리 SwiftUI에선 View를 Struct로 취급하기 때문에 View를 식별하기 위해선 별도의 ID가 필요합니다.정체성은 명시적 정체성, 구조적 정체성 두가지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명시적 정체성을 부여하지 않더라도 뷰 계층 구조를 활용해 뷰에 암시적인 ID를 부여합니다.명시적 정체성 (Explicit Identity)개발자가 ID 나 Identifiable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뷰나 데이터에 직접 고유한 식별자를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ForEach와 같은 데이터 기반 컴포넌트에서 특히 중요하며, SwiftUI가 컬렉션의 항..

번역) SwiftUI 간단한 뷰 레이아웃 구성하기
해당 글은 Apple 공식문서를 번역한 글로 의역이나 잘못 번역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정확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주세요.https://developer.apple.com/documentation/swiftui/laying-out-a-simple-view개요뷰의 레이아웃을 만들려면, 먼저 자식 뷰들의 계층을 구성합니다. 그런 다음, 자식 뷰의 크기와 간격을 설정 파라미터와 frame, padding 같은 뷰 수정자를 통해 조정할 수 있습니다.레이아웃 구성 방식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스택 뷰로 레이아웃 만들기를 참고하세요. 뷰 계층 구성하기다음은 메시징 서비스에서 받은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뷰 예시입니다.이 뷰는 HStack을 사용하여 발신자를 나타내는 뷰와 메시지 내용을 담는 뷰를 나란히 배치합니..

번역) SwiftUI 커스텀 뷰 선언하기
해당 글은 Apple 공식문서를 번역한 글로 의역이나 잘못 번역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정확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주세요.https://developer.apple.com/documentation/swiftui/declaring-a-custom-view#Conform-to-the-view-protocol개요SwiftUI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선언형(declarative) 방식으로 제공합니다. 전통적인 명령형(imperative) 방식에서는 뷰를 생성하고, 배치하고, 설정하는 책임은 물론, 상태 변화에 따라 뷰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는 책임까지 컨트롤러 코드가 부담합니다. 반면, 선언형 방식에서는 UI의 원하는 레이아웃을 반영하는 뷰 계층을 선언함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간단한 설명(lig..

Socket vs WebSocket
소켓(Socket)이란?소켓(Socket) 은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프로세스 간 통신의 종착점.OSI 7계층 중 응용 계층에 속하는 프로세스들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반드시 소켓을 거쳐 전송 계층으로 데이터를 전달해야한다.즉, 소켓은 전송 계층과 응용 프로그램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떨어져 있는 두 호스트를 연결해준다.소켓은 아래의 요소들을 담고 있는 하나의 파일인 것이다.프로토콜상대와 자신의 IP 주소Port 번호통신 동작 진행 상태소켓에 담기는 정보 심화편+ with GPT더보기✅ 소켓(Socket)의 기본 구성 정보소켓은 단순한 ‘연결’이 아니라,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컨텍스트(Context)입니다.즉, 소켓을 생성하면 다음과 같은 중요한 정보들이 내부에 저장됩니다:정보항목설명IP 주소로컬 I..

HTTP 개요 및 HTTP 버전별 차이
HTTP란?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의미 있는 요청과 응답을 주고받기 위한 텍스트 기반 통신 프로토콜입니다.'의미 있는' 이란?HTTP는 단순히 데이터를 주고받는 수준을 넘어서, 요청과 응답의 목적과 맥락을 헤더(Header)를 통해 설명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GET, POST와 같이 요청의 종류를 설명하고, User-Agent를 통해 누가 보냈는지를 설명하며 Content-Type을 통해 데이터의 형식이 무엇인지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전송 방식HTTP는 어플리케이션 계층의 프로토콜로 신뢰가능한 전송 계층 프로토콜(TCP) 위에서 동작합니다. 보안이 강화된 버전인 HTTPS(HTTP over TLS)는 TLS(SSL)를 통해 데이터를 암호..

애플 로그인 서버부터 클라이언트까지(Swift + Nest.js + TypeScript)
iOS 앱을 개발할 때 소셜 로그인 기능을 구현한다면, 애플 로그인은 사실상 필수적인 기능입니다. 그렇기에 프로젝트를 할 때마다 애플 로그인을 구현하게 되는데, 매번 '어떻게 구현하더라' 하며 다시 찾아보는 일이 반복되곤 했습니다. “애플로부터 토큰을 발급받아 서버에 넘기면 서버가 알아서 로그인 또는 회원가입 처리를 진행하고, 그 후 액세스 토큰과 리프레시 토큰을 넘겨 받는다” 정도로만 기억하고 있었고, 로그인 플로우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부족해 발생하는 문제였습니다. 마침 클라이언트부터 백엔드까지 직접 구현해볼 수 있는 기회가 생겼고, 이번 기회에 로그인 플로우를 제대로 정리해야겠다고 생각해 iOS 클라이언트 코드와 서버 로직까지 모두 작성해보았습니다.iOS 클라이언트는 Swift 로, 서버 코드는 N..